사회기술'은 보건복지ㆍ의료ㆍ교육ㆍ위생ㆍ환경ㆍ안전 등의 분야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재조합형 기술로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술’, ‘공익기술’, ‘사회지향적 기술’, ‘적정기술’ 등을 포함한다.
이처럼 사회문제에 따른 근원적 해결을 과학기술로 풀어가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문제 해결 종합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융복합소재와 농생명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개발하고 있는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앞서 행정안전부와 과기부가 추진하는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사업'의 10대 과제 중 '환경, 신재생에너지, 건강, 사회통합' 4대 키워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선정한 과제의 발굴 과정을 살펴보면 국민들의 수요를 반영하고 연구개발이 실질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추고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01. 전라북도 대국민 아이디어
아래의 그래프는 전라북도의 지역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하고자 '전북특구'에서 공모전을 진행 한 결과 접수받은 현황이다. "전라북도 지역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이라는 타이틀로 진행되었으며 10월 7일 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02. 사회문제 정의
10대분야 | 이슈 | 세부내용 |
---|---|---|
건강 | 고령화, 식품연, 농진청 | 독거노인 등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상 문제등으로 고통을 겪는 노인들이 증가중 전북의 경우 노령화와 함께 저출산과 청년인구 유출의 가속화로 인해 초고령화 사회진입 시기가 당겨질것으로 예상 2019년 20.4%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 전북의 경우 전남과 경북보다 인구삭 훨씬 적은 데 반해 고령화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남 |
![]() 왼쪽부터 전북일보, 고령화사태설명, 한국대학신문, 리빙랩 네트워크 포럼 |
03. 현안 및 이슈
전북지역 '고령화' 현상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은 2045년이 되면 절반에 가까운 전북인구가 65세 노인이 될 것이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전북의 경우 노령화와 함께 저출산과 청년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도 초고령화 사회진입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호남지방통계청)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전라북도 고령자 통계’ 조사에서 올해 기준 도내 65세 이상 고령자는 36만9000명으로 전체인구의 20.6에 달했다. 통계청은 이 같은 추세라면 2045년에는 도내 65세 인구가 68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전북도민 중 42.5%가 고령자가 될 것이란 얘기다.
(출처 = 호남지방통계청)
지난해 고령자 경제활동참가율 기준으로 전북은 우리나라에서 제주(50.1%), 전남(48.6%), 경북(43.6%), 강원(43.5%)에 이어 5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호남지방통계청)
전북 고령자 1인 가구 비율은 지난해 8만 2834가구로 집계됐다. 시·군별로는 전주(1만6천), 익산(1만1천), 군산(1만) 순이다. 고령화와 생산인구 감소가 맞물리면서 부모 부양에 대해서는 가족과 정부·사회가 책임져야 한다는 견해가 49.1%로 가장 높았다.
앞서 한국고용정보원은 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이 맞물리면서 전북지역 14개 시·군 가운데 10곳을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한 바 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도내 소멸 위험지역은 올해 기준으로 김제·남원·정읍시와 임실·무주·장수·진안·고창·부안·순창군 등으로 분석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북의 경우 전남과 경북보다 인구수가 훨씬 적은 데 반해 고령화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단순하게 비교할 땐 이들 지역의 고령화가 더 높지만, 인구규모와 농촌지역 지자체 수 등을 감안한다면 전북지역의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고 말했다.
사회문제 관련 뉴스 빅데이터 분석
![]() 왼쪽부터 관련뉴스 동향 분석, 뉴스 연관어 분석 (출처: BIGKinds 뉴스분석결과) |
사회문제 ‘전라북도 고령화’와 관련된 최근 10년간(2010.1~2020.8) 뉴스를 조사한 결과 총 952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최근 뉴스대상으로 전라북도 고령화와 연관도가 높은 키워드 분석한 결과 1위와 2위는 전북과 전주, 3위는 ‘일자리(빈도수 911)’, 4위는 ‘농업인(빈도수 538)’ 5위는 ‘귀촌(빈도수 441)’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뉴스기사 분석으로부터 전라북도 고령화 경우, ‘WHO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위해 사회적, 물리적 환경을 위한 기본계획 구상중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고령화 현상이 예상보다 빠른 진입이 예상되며 고령자 식품시장 또한 크게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친화 식품은 고령자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고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으로 고령자의 3대 섭식장애인 저작·섭식·소화 장애를 고려한 특수식품, 간편조리식, 영양강화식, 고열량식, 간호식, 소화용이식 등이 포함된다.
현재 국내엔 특수의료용도 식품인 영양보충식 형태의 제품이 대부분이다. 연하·섭식장애 개선과 소화증진 등을 위한 고령친화식품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식품연구원을 비롯해 전북특구 내 공공연구기관에서는 고령친화 식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환자용으로 개발돼 온 고령친화식품이 고령자 모두를 위한 보편식으로 확대돼 고령자를 위한 식품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전북특구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해결과 동시에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준비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04. 전북특구 내 공공연구기관 보유기술 현황

`2020. 5. 14 일 기준 WIPS 특허검색 DB wintelips 사용
건강 및 식품 관련 공공연구기관 특허현황

건강 및 식품 관련 공공연구기관 특허기술 보유현황
보유기술명 | 관련 지재권 현황(출원번호) | 보유기관 | |
---|---|---|---|
1 | 배초향 엽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1-0025173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 |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 10-1998-0030187 | 한국식품연구원 |
3 | 감잎 반발효차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10-2008-0117317 | |
4 | 경량화 된 헤드를 갖는 식품 3D프린터 | 10-2016-0139809 | |
5 | 관능적 특성과 보존성이 우수한 생강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10-2010-0006152 | |
6 | 기능성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 10-2005-0026485 | |
7 | 김치공장 부산물을 활용한 유박 발효 퇴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10-2015-0171634 | |
8 | 김치유산균주로 구성된 발효 커피 베이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커피의 제조방법 | 10-2018-0051871 | |
9 | 냉수 및 열수 추출특성이 우수한 다시마차 조성물의제조방법 | 10-2007-0065581 | |
10 | 냉수 용해성 분말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1998-0044364 | |
11 | 녹차의 새로운 가공방법 | 10-2009-0106378 | |
12 | 도정한 맥아를 주원료로 한 커피 대용분말차의 제조방법 | 10-1998-0058541 | |
13 | 마가목 열매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 10-2000-0085064 | |
14 | 미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생물 영양제 | 10-2009-0082693 | |
15 | 민들레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4-0038613 | |
16 | 발효차 및 이의 제조방법 | 10-2015-0114482 | |
17 | 사과 꽃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10-2008-0112729 | |
18 | 산수유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산수유 분말차 및 그 제조방법 | 10-1992-0003424 | |
19 | 산채추출을 함유하는 산채음료, 산채음료의 제조방법 및산채추출물을 분말화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타블렛의 제조방법 | 10-2001-0007582 | |
20 | 식품 3D프린터 | 10-2016-0139808 | |
21 | 심근 단백질의 가용화 방법 및 식품용 단백질의 제조방법 | 10-2011-0022934 | |
22 | 압출성형 공정에 의한 수불용성 식이섬유의 수용화 증진방법 | 10-1997-0018600 | |
23 | 압출성형을 통한 차의 가공방법 | 10-2007-0072474 | |
24 | 오리스킨 유래 젤라틴의 추출방법 및 이에 따라 추출된 젤라틴 | 10-2018-0070336 | |
25 | 오미자추출액을 이용한 오미자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8-0023314 | |
26 | 인삼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 10-2010-0002183 | |
27 | 잣잎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5-0091791 | |
28 | 장뇌삼 잎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4-0079765 | |
29 | 장뇌삼 잎을 포함하는 혼합 덖음차 및 그의 제조방법 | 10-2005-0096571 | |
30 | 저카페인 녹차의 제조방법 | 10-2010-0067998 | |
31 | 차의 생엽으로부터 고품질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 10-2007-0123841 | |
32 | 초음파 추출기술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저카페인 함유 녹차추출물의 제조방법 | 10-2013-0051253 | |
33 | 초음파를 이용한 근육 단백질의 수용화 방법 | 10-2007-0108770 | |
34 | 칼슘 이온이 강화된 유산균 발효 배추 단축경을 포함하는 다류제품 제조법 | 10-2018-0087312 | |
35 | 폴리페놀 함유 나노-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타타리 메밀 탈피분말 차의 제조 방법 | 10-2010-0030143 | |
36 | 풍미를 개선한 인삼차 제조방법 | 10-2011-0051268 | |
37 | 향미가 개선된 저카페인 녹차의 제조방법 | 10-2006-0136603 | |
38 | 향미가 유지된 과립형 감잎차 및 이의 제조방법 | 10-2011-0059130 | |
39 | 호박농축물을 이용한 호박차 및 호박음료의 제조방법 | 10-1991-0024168 | |
40 | 바이오 매스의 당화효율을 증진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의 제조방법 | 10-2012-0051159 | 한국원자력연구원 |
41 | 방사선 조사와 수화겔을 이용한 축산액비 처리방법 | 10-2013-0057022 | |
42 | 방사선을 이용한 축산액비 제조방법 | 10-2015-0108821 | |
43 | 디스아조계 황색안료, 이를 포함하는 안료 분산액 및 감광성 수지 조성물 | 10-2017-0116097 | 안전성평가연구소 |
44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10-2013-0109003 | 군산대학교 |
45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이용할 수 있는 신규 유기염료 계산 | 10-2012-0013596 | |
46 | 떡류 2차 성형장치 | 10-2017-0002703 | 군장대학교 |
47 | GABA를 함유하며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백련잎차 및 백련추출액의 제조방법 | 10-2009-0121868 | 우석대학교 |
48 | 대두 침지수를 발효하여 제조하는 양액, 비료 또는 사료용 발효물 제조방법 | 10-2015-0023520 | |
49 | 연근 만두 제조방법 | 10-2013-0072829 | |
50 | 감국의 꽃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 10-2006-0072623 | 원광대학교 |
51 | 경조화환에 사용된 사스레피나무 절지를 이용한 천연염료및 매염제 제조방법 | 10-2006-0069917 | |
52 | 다양한 자극에 의해 색깔 조절이 가능한 반응성 카이랄 염료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색소자 | 10-2015-0144653 | 전북대학교 |
53 | 바이오매스 발효폐기물을 이용한 인 함유 바이오차,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 10-2016-0129015 | |
54 | 반응성 메조겐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 10-2015-0134681 | |
55 | 비만 예방 및 혈당 개선용 기능성 검은팥 볶음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볶음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 10-2015-0156694 | |
56 | 염료 감응 태양전지용 유기 발색단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 10-2010-0104199 | |
57 | 오미자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색소의 대량 추출 방법 | 10-2016-0075600 | |
58 | 포피린-금속코어-액정 형태의 액정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염료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10-2014-0186923 | |
59 | 마가목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가목 잎 차 | 10-2013-0004894 | 전주기전대학교 |
60 | 헛개나무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헛개나무 잎 차 | 10-2013-0004893 | |
61 | 방풍 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방풍 차 | 10-2015-0020055 | 전주대학교 |
62 |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발효액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우렁쉥이 껍질 발효액비 | 10-2015-0125827 |
기술이전 상담 및 문의처 : (주)윕스 이정수연구원 042-862-6018 lee0917@wips.co.kr 지원사업 상담 및 문의처 : 전북연구개발특구 김미영연구원 063-905-9756 mykim94@innopolis.or.kr